티스토리 뷰
SWITCH
활성화/비활성화:
특정 조건에 따라 입력을 프로그래매틱하게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는 퍼포먼스나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콘텐츠를 스위칭할 때 유용합니다.
**응용**:
SWITCH 노드는 인터랙티브 인스톨레이션, 라이브 퍼포먼스,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 등에서 사용자의 입력이나 센서 데이터에 따라 다양한 미디어를 전환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 예를 들어, 관객의 움직임에 따라 비디오 클립을 변경하는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를 만들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예: 터치디자이너에서 SWITCH 노드를 사용하는 간단한 예로는, 버튼을 누를 때마다 다른 비디오가 재생되게 설정하는 것입니다. 각 비디오 소스는 SWITCH 노드의 다른 입력으로 연결되고, 버튼의 인터페이스는 'Select Index'를 조정하여 현재 활성화된 비디오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MATH 노드를 사용하여 범위를 매핑
- MATH 노드 생성:
- 터치디자이너에서 MATH 노드를 프로젝트에 추가합니다.
- 입력 설정:
- 변환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MATH 노드의 입력으로 연결합니다.
- 파라미터 설정:
- MATH 노드의 파라미터 패널에서 'Range' 탭을 선택합니다.
- From Range: 입력 데이터의 현재 범위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입력 값이 0에서 100 사이라면, 'From Range'를 0과 100으로 설정합니다.
- To Range: 입력 값을 매핑하고자 하는 새로운 범위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값을 0에서 1 사이로 매핑하고 싶다면, 'To Range'를 0과 1로 설정합니다.
- 출력 확인:
- MATH 노드의 출력을 확인하여 입력 값이 적절히 새로운 범위로 매핑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예제 사용
예를 들어, 센서로부터 받은 온도 데이터가 -30°C에서 50°C 사이라고 할 때, 이를 0에서 1 사이의 값으로 매핑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 From Range: -30 (최소값), 50 (최대값)
- To Range: 0 (최소값), 1 (최대값)
lIMIT: Quantize 기능의 작동 방식
- 간격 설정: Quantize는 설정된 간격(Step Size)에 따라 입력 값을 가장 가까운 단계로 반올림합니다. 예를 들어, Step Size가 0.1일 경우, 입력 값 0.35는 0.4로 반올림됩니다.
- 파라미터 설정:
- Quantize: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입력된 값들이 지정된 간격으로 양자화(quantize)됩니다.
- Step Size: 이 값은 입력 값을 양자화할 때 사용할 간격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Step Size를 1로 설정하면 입력 값이 정수로 반올림됩니다.
- 입력 및 출력:
- 입력 데이터는 LIMIT 노드로 들어가고, 설정에 따라 양자화 처리된 데이터가 출력됩니다.
ANALYZE CHOP 노드의 주요 기능
ANALYZE CHOP 노드는 입력된 CHOP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다양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분석 타입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Average (평균): 입력 채널의 평균값을 계산합니다.
- Minimum (최소값): 입력 채널의 최소값을 찾습니다.
- Maximum (최대값): 입력 채널의 최대값을 찾습니다.
- Sum (합계): 입력 채널의 값들의 합계를 계산합니다.
- Length (길이): 입력 채널의 길이(데이터 포인트의 수)를 반환합니다.
- Standard Deviation (표준편차): 데이터의 표준편차를 계산합니다.
- Count (갯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샘플의 수를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임계값보다 큰 값들의 수를 세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RMS (Root Mean Square, 제곱평균제곱근): 입력 신호의 전력량에 대한 통계적 척도로, 특히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설정 및 사용법
ANALYZE CHOP 노드를 설정하고 사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노드 추가: TouchDesigner 프로젝트 내에 ANALYZE CHOP 노드를 추가합니다.
- 입력 설정: 분석하고자 하는 CHOP 채널을 ANALYZE CHOP 노드의 입력으로 연결합니다.
- 분석 타입 선택: 노드의 파라미터 설정에서 원하는 분석 타입을 선택합니다.
- 출력 확인: 노드의 출력을 확인하여 선택한 분석 타입에 따라 계산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응용 예제
예를 들어, 라이브 콘서트에서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ANALYZE CHOP 노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RMS 또는 최대값을 계산하여, 오디오 레벨이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경고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트리거의 임계값 !)
코드.
abs(tabr("state", "play", 1))?
1. tabr()
테이블 DAT(데이터 연산자)에서 값을 읽는 데 사용
tabr(dat, row, column).
dat테이블 DAT의 이름 또는 경로이고,
row는 행 인덱스(0부터 시작),
column열 인덱스(역시 0부터 시작)입니다.
DAT 테이블 값을 읽는 방법
1. tabr(dat, row, column) 코드
- 사용 이유: tabr() 함수는 스크립트나 표현식에서 특정 테이블 셀의 값을 읽을 때 사용됩니다. 이 함수는 주로 파라미터 필드에서 데이터를 동적으로 읽어야 할 때 사용되며, 특히 비주얼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간편하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특징: tabr()는 특정 DAT의 이름과 행, 열의 인덱스 또는 이름을 명시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합니다. 이 함수는 특히 파라미터 입력과 같이 경로나 변수 이름을 문자열로 처리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2. evaluate() 오퍼레이터
- 사용 이유: evaluate() 메소드는 셀의 데이터를 파이썬 데이터 유형으로 반환하며, 셀 안의 파이썬 표현식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 메소드는 복잡한 데이터 처리나 조건부 로직을 포함한 셀 값을 계산할 때 유리합니다.
- 특징: 셀에 저장된 표현식이나 계산을 직접 실행할 수 있어, 데이터를 단순히 읽는 것 이상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셀에 "1 + 2"라는 문자열이 있을 경우, evaluate()는 이를 계산하여 3을 반환합니다.
3. 직접적인 인덱싱 table[row, column] 코드
- 사용 이유: 파이썬 스크립트 내에서 DAT의 특정 위치에 접근하기 위해 직접적인 인덱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파이썬의 일반적인 인덱싱 문법을 따르므로 프로그래머에게 친숙하고, 스크립트 내에서 빠르고 간단하게 데이터에 접근하고자 할 때 적합합니다.
- 특징: 이 방법은 테이블의 구체적인 셀 값을 직접 참조하여 사용하며, 추가적인 함수 호출 없이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어 실행 속도 측면에서 이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셀 내의 파이썬 표현식을 평가하지는 않습니다.
'TouchDesign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치디자이너 Grbl_CNC 제어 (X,Y... 지정된 위치) (0) | 2024.04.25 |
---|---|
TOUCHDESIGNER _ RANDOM GENERATOR (0) | 2024.04.25 |
아두이노 나노 33 IoT _ 온습도, 조도,WIFI,GPS,OLED,TEMP,PULSE_SDcard_MQTT_TouchDesigner_00 (0) | 2024.04.24 |
터치디자이너 : 아두이노 _ 온습도 , 조도 //시리얼 통신 (2) | 2024.04.19 |
TouchDesinger_motor_arduino (0) | 2024.03.30 |
- Total
- Today
- Yesterday
- Unity
- CNC
- RNN
- houdini
- VR
- node.js
- google ai studio
- runwayai
- AI
- imgtoimg
- 후디니
- 라즈베리파이
- krea
- TouchDesigner
- Arduino
- Express
- opencv
- docker
- colab
- sequelize
- three.js
- ai film
- oculuspro
- Java
- MQTT
- 유니티
- Midjourney
- Python
- DeepLeaning
- ai image generato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