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아두이노와 릴레이모듈을 활용한 전등켜기 | 싸이피아SCIPIA
By scipia 릴레이(RELAY)는 계전기라고도 부르며 입력신호를 사용하여 출력측에 연결된 장치를 ON 또는 OFF할 수 있는 전자석을 사용한 일종의 자동 스위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동 제어 시스템에
scipia.co.kr
5v
d6
gnd
// 아두이노 릴레이모듈 실험
// 1초마다 ON/OFF를 반복합니다. 1초마다 릴레이 접점이 붙었다 떨어지는 "딸깍"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const int relayPin = 6; //릴레이 신호핀(S)에 연결되는 아두이노 핀
void setup()
{
pinMode(relayPin, OUTPUT); //릴레이 신호용 아두이노 디지털 핀을 출력으로 설정
}
void loop()
{
digitalWrite(relayPin, HIGH); //릴레이 접점 ON
delay(1000); //1초 대기
digitalWrite(relayPin, LOW); //릴레이 접점 OFF
delay(1000); //1초 대기
}
24v 전구 제어는 어떻게 할까?
아두이노 디지털 핀에 24V 입력받기(저항으로 전압강하, 전압분배)
아두이노나 라즈베리파이 같은 보드는 GPIO라는 입출력 핀들을 제공하는데요. 입출력 신호로 사용하는 전압은 각각 5v와 3.3v입니다. 이런 신호를 TTL(Transistor to Transistor Logic, 네트웍에서 말하는 TTL
blog.xcoda.net
아두이노로 DC모터 제어하는 방법들
아두이노로 DC모터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어하고자 하는 기능범위와 제어하고자 하는 모터의 용량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게 된다. 단순 ON/OFF 제어하기 단순히 모터를 ON시키거나 OFF시키는 동작만
makernambo.com
단순히 모터를 ON시키거나 OFF시키는 동작만을 원한다면 모터에 연결되는 전원을 ON/OFF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릴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을 제어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I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 nano 33 IoT: LM386 스피커 모듈+ VL53L1X ToF 레이저 거리 측정 센서 (MQTT 통신) (0) | 2024.05.17 |
---|---|
아두이노 I2C 주소 찾기(여러 센서 같이 작동시키기) (0) | 2024.04.24 |
아두이노 _ 플로터 _DIY (GRBL CNC Shield + Z axis servo MIGRBL) + UGS (0) | 2024.04.21 |
아두이노 나노 33 IOT _ UART ? (0) | 2024.04.19 |
아두이노 -GPS 센서 (GY-NEO6MV2) (1) | 2024.04.18 |
250x2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opencv
- three.js
- ai film
- runwayai
- 유니티
- Express
- DeepLeaning
- Python
- imgtoimg
- docker
- 라즈베리파이
- RNN
- krea
- 후디니
- sequelize
- ai image generator
- houdini
- Java
- VR
- MQTT
- AI
- Midjourney
- Unity
- oculuspro
- TouchDesigner
- google ai studio
- Arduino
- colab
- node.js
- CN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반응형